결핵
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 2위, 결핵 사망률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, 2027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20명(10만 명당)이하 “결핵없는 사회, 건강한 국가”를 만들고자 합니다.
결핵이란?
-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공기로 전파되는 공기매개 감염병으로, 전염성이 있는 결핵환자가 기침, 재채기, 대화할 때 공기중으로 결핵균이 배출되어 주위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. 환자가 사용하는 식기, 의류, 침구, 책 및 가구 등 환자의 물건이나 음식을 통해서는 결코 전염되지 않습니다.
결핵증상
- 기침, 가래, 각혈, 호흡곤란, 발열, 발한(특히 밤중), 쇠약감, 신경과민 체중감소 등
- 위 증상이 2주이상 지속되거나, 결핵의심 되면 결핵실을 방문하여 진료 및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결핵관리사업
- 보건소 내소검진 사업
- 강동구민 대상 결핵검진과 결핵환자 접촉자 대상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구분 | 결핵검진 | 잠복결핵감염검진 |
---|---|---|
대 상 |
|
|
검 사 | 흉부 X선 검사 (필요시 가래 검사) | 인터페론감마분비(IGRA)검사 (혈액검사) |
절 차 | 접수(보건소 뒤편 결핵실 1층) → 검사(보건소 2층 방사선실) | 접수(2층 결핵실) → 검사(2층 임상병리실) |
결과통보 | 약 2일 내 개별통보 | 약 10일 내 개별통보 |
준비물 | 신분증 | |
비 용 | 무료 |
- 잠복결핵감염 검진 가능 의료기관
- 질병관리청 결핵zero 참고: https://tbzero.kdca.go.kr/tbzero/org/getListOrg.do
- 어르신 및 노숙인 대상 이동검진 사업
구분 | 어르신 결핵검진 | 노숙인 결핵검진 |
---|---|---|
목 적 | 결핵환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65세 이상 어르신의 결핵검진을 통해 노인결핵검진 수검률 향상 및 환자발견 강화 | 일반인에 비해 결핵 유병률이 높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결핵검진을 통한 결핵 조기발견 및 전파차단 |
대 상 |
|
|
방 법 | 대한결핵협회 위탁 찾아가는 검진 | |
비 용 | 무료 (검진을 희망하시는 기관께서는 문의 바랍니다) |
-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 의무 기관
- 결핵예방법 제11조제1항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기관ㆍ학교의 장은 종사자에게 결핵검진등을 실시하여야 합니다.
※ 결핵검진등: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
- 「의료법」 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의 장
- 「모자보건법」제15조에 따른 산후조리업자
- 「초ㆍ중등교육법」 제2조에 따른 학교의 장
- 「유아교육법」 제7조에 따른 유치원의 장
- 「영유아보육법」 제10조에 따른 어린이집의 장
- 「아동복지법」 제52조에 따른 아동복지시설의 장
- 그 밖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관ㆍ학교 등의 장
- ※ 다른 법령에 따라 건강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이 법에 따른 결핵검진등을 받은 것으로 갈음 할 수 있다
- 결핵예방법 제11조제1항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기관ㆍ학교의 장은 종사자에게 결핵검진등을 실시하여야 합니다.
- 검진실시 항목 및 주기
- 결핵검진
- (항목) 흉부 X선 검사 (필요 시 가래검사)
- (주기) 매년 실시
- 잠복결핵감염검진
- (항목) 면역학적검사(인터페론감마분비검사 또는 투베르쿨린피부반응검사)
- (주기) 기관ㆍ학교 등에 소속된 기간(다른 기관ㆍ학교 등으로 그 소속을 변경하여 근무한 기간 포함) 중 1회 실시
※ 결핵 또는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이력이나 잠복결핵감염 양성 판정자는 문진과 진찰로 대체 가능
- 결핵검진
- 강동구 결핵치료 병원: 강동성심병원, 강동경희대병원, 중앙보훈병원
- 잠복결핵감염 치료병원: 강동성심병원, 중앙보훈병원, 고내과의원, 연세이내과의원
- 결핵검사 및 치료비: 무료
- 결핵홍보물 배부저: 강동구 보건소 결핵실
급성감염병
국가간 지역간 인적·물적 교류의 증가로 감염병의 유입·확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를 막기 위해 감염병에 대한 감시체계를 운영하며, 신속한 역학조사 및 추적관리를 실시하여 구민들의 감염병 예방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봄철 유행감염병
수두
- 대상 :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미열,전신발진
- 감염경로 : 수두환자의 수포액과 직접접촉 또는 호흡기로 흡입
- 잠복기 : 10~21일(평균 14~16일)
- 예방법 : 예방접종 실시
- 소아: 생후 12~15개월에 수두 백신 1회 접종(13세 이상 미접종자는 4~8주 간격 2회 접종)
- 성인: 4~8주 간격 2회 접종
홍역
- 대상 : 홍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고열, 발진, 기침, 콧물, 눈물,결막염 등
- 합병증 : 중이염, 기관지염, 기관지 폐렴 등
- 감염경로 : 호흡기 또는 환자의 비·인두 분비물과 직접 접촉
- 잠복기 : 7~21일(평균 10~12일)
- 예방법 : 예방접종(MMR)
- 소아: 생후 12~15개월,4~6세에 MMR 백신으로 2회 접종
- 성인: 면역의 증거가 없는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는 적어도 1회 접종
(*196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는 접종 불필요)
유행성이하선염
- 대상 :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(Mumps virus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감염경로 : 비말 전파, 환자의 타액과 직접 접촉으로 전파
- 잠복기 : 12~25일(평균 16~18일)
- 예방법 : 예방접종(MMR)
- 소아: 생후 12~15개월,4~6세에 MMR 백신으로 2회 접종
- 성인: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은 적어도 1회 접종
풍진
- 대상 : 풍진바이러스(Rubella virus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두통, 결막염, 발진
(임신초기의 여성이 걸렸을 경우,아이에게 심장기형,백내장, 청력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하게 주의를 요함) - 임신초기의 여성이 걸렸을 경우, 풍진 증후군이라고 해서 심장기형이나 백내장, 청력장애 등을 가진 아기를 출산하게 되므로 각별하게 주의를 요함
- 감염경로 : 공기매개감염, 직접 접촉 또는 수직감염(태반을 통한 태아 감염)
- 잠복기 : 12~23일(평균 14일)
- 주요증상 : 두통, 결막염, 발진
- 예방법
- 사람이 많은 곳이나, 밀폐된 곳은 피하기
- 외출 후 곧바로 손발을 씻고 양치질을 하기
- 예방접종(MMR)
- 소아: 생후 12~15개월,4~6세에 MMR 백신으로 2회 접종
- 성인: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은 적어도 1회 접종
성홍열
- 대상 : A군 β-용혈성 연쇄구균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발열, 인두통, 구토, 복통 및 온몸 발진
- 감염경로 : 환자와 보균자의 호흡기 분비물과 직·간접 접촉
- 잠복기 : 1일~7일(평균 2~5일)
- 예방법
- 올바른 손씻기, 기침 예절 지키기
- 물컵 또는 식기구 공유하지 않기
백일해
- 대상 : 백일해균(Bordetella pertussis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1~2주간 콧물, 눈물, 가벼운 기침을 하다가 발작성 기침,구토,무호흡 증상이 나타난 후 점차 호전
- 감염경로 : 비말 전파
- 잠복기 : 5일~21일(평균 7~10일)
- 예방법
- 예방접종
- 소아: 생후 2,4,6,15~18개월, 4~6세에 DTaP 백신으로 접종 후 11~12세에 Tdap 백신으로 추가접종, 이후 Td 또는 Tdap 백신으로 매 10년마다 추가접종 실시
- 성인: 과거 접종력이 없는 경우 접종(*연령,예방접종력에 따라 접종일정 상이)
- 예방접종
파상풍
- 대상 : 파상풍균(Clostridium tetani)에 감염된 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증상 : 독소에 의한 경련성의 경직 마비
- 감염경로 : 흙, 먼지, 동물의 대변등에 포함된 파상풍의 포자가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
- 잠복기 : 3일~21일(평균 7일)
- 예방법
- 예방접종
- 소아: 생후 2,4,6,15~18개월, 4~6세에 DTaP 백신으로 접종 후 11~12세에 Tdap 백신으로 추가접종, 이후 Td 또는 Tdap 백신으로 매 10년마다 추가접종 실시
- 성인: 과거 접종력이 없는 경우 접종(*연령,예방접종력에 따라 접종일정 상이)
- 예방접종
여름철 유행감염병
콜레라
- 대상 : 비브리오 콜레라(Vibrio cholerae) 균에 감염된 환자,의사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증상 : 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며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음
- 감염경로 : 오염된 물,음식으로 주로 전파되나 드물게 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의 대변,구토물에 직접전파
- 잠복기 : 수시간~5일(보통 2~3일)
- 예방법
- 일반적 예방: 올바른 손씻기, 음식 익혀먹기,물 끓여 마시기 등
- 예방접종: 콜레라 유행 또는 발생지역 방문시 권고(기초접종 2~3회, 추가접종)
장티푸스
- 대상 : 장티푸스균(Salmonella typhi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지속적인 고열, 서맥, 두통, 간 비장의 종대, 변비가 생기며 설사 및 장에 가스가 차기도 함
- 감염경로 :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여 전파
- 잠복기 : 3~60일 (평균 8~14일)
- 예방법
- 일반적 예방: 올바른 손씻기, 음식 익혀먹기,물 끓여 마시기 등
- 예방접종: 장티푸스 감염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 권장
세균성이질
- 대상 : 이질균(Shigella dysenteriae)에 감염된 자 또는 의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감염병 진단 시 보건소 연락 협조
- 내용
- 주요증상 : 고열과 구토, 복통, 후중기를 동반한 설사가 주요증상이며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옴
- 감염경로 : 공기매개감염, 직접 접촉 또는 수직감염으로 전파됨. 환자나 보균자가 배변후 손톱 및이나 손을 깨끗이 씻지 않았거나 화장실 손잡이나 타올을 통해서도 전염
- 잠복기 : 12시간~7일 (평균 1~3일)
- 예방법
- 올바른 손씻기(30초 이상), 음식 익혀먹기, 물 끓여 마시기
비브리오패혈증
- 대상 :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균(Vibrio vulnificus)에 감염된 자 또는 의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환자, 의사환자 진단 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(CDC)를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발열, 오한 ,혈압 저하, 복통, 구토, 설사, 하지에 피부 병변 발생
- 감염경로 : 오염된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먹거나 바닷물에 상처 부위가 접촉하여 발생
- 잠 복 기 : 20~48시간
- 예방법
- 어패류는 깨끗이 씻기.
- 여름철 어패류는 가급적으로 -5℃ 이하로 저온저장 또는 60℃ 이상으로 가열처리하거나 수돗물에 씻은 후 섭취.
- 만성간질환, 만성신장질환, 당뇨병환자, 면역억제제사용자, 알콜 중독자는 어패류 생식을 삼가기.
-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 금지.
장출혈성대장균
- 대상 : 장출혈성대장균(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)에 감염된 자 또는 의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환자, 의사환자 진단 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(CDC)를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설사,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고, 일부 장출혈, 용혈성 요독증을 일으킴
- 감염경로 : 오염된 고기를 덜 익혀 먹거나 오염된 조리기구를 사용할 경우 감염·오염된 식수, 환자의 설사에 의한 2차 감염
- 잠 복 기 : 2~8일
- 예방법
- 주된 감염원인 소를 비롯한 가축사육 목장에 대한 종합적 감시와 육류 가공처리 과정 오염방지책 수립, 위험 식품에 대한 지속적 감시, 육류제품은 충분히 익혀 섭취, 날 것으로 섭취하는 야채류는 염소 처리한 청결한 물로 잘 씻어먹기, 식사 전후와 용변 후 손을 깨끗이 씻기
말라리아
- 대상 : Plasmodium 속에 속하는 원충 감염에 감염된 환자,의사환자 및 병원체보유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오한,발열,발한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남
- 감염경로 :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렸을 때 감염되나 간혹 수혈에 의한 감염도 있음
- 잠 복 기 : 일반적으로 7~30일이나 몇 달 또는 몇 년 후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
- 예방법
-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(긴 소매·긴 바지 입기, 모기기피제 도포 등)
- 환자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
- 추가정보 : 링크(보건소 홈페이지 내 해외여행 감염병 참고)
일본뇌염바이러스(Japanese encephalitis virus)
- 대상 : 일본뇌염 바이러스(Japanese encephalitis virus)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대부분이 무증상, 극소수로 39도 이상 고열, 두통, 구토, 현기증
- 감염경로 : 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빨간집모기에 물려서 전염
- 잠 복 기 : 5일~15일
- 예방법
-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(긴 소매·긴 바지 입기, 노출 부위는모기기피제 도포)
- 예방접종
- 소아
- 불활성화 백신: 총 5회 접종
- 약독화 생백신: 총 2회 접종 - 성인 : 위험지역을 방문하거나 활동할 예정인 만 18세 이상 성인 중 일본뇌염에 대한 면역이 없는 자
- 불활성화 백신: 총 3회 접종
- 약독화 생백신: 총 1회 접종
- 소아
레지오넬라증(Legionellosis)
- 대상 : 병원성 레지오넬라균(Legionella spp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오염된 물(냉각탑수 등) 속의 균이 비말형태로 인체에 흡입되어 전파됨.일반적으로 사람 간 전파는 없음
- 잠복기
- 레지오넬라 폐렴: 2~10일
- 폰티악 열: 몇시간~최대 48시간
- 예방법
- 냉각탑 및 급수시설 청소 및 소독 관리
- 필요시 의료기관 급수시스템 환경배양 검사 고려
가을철 유행감염병
신증후군출혈열
- 대상 : 한타바이러스(Hantaan orthohantavirus 등)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발열,출혈소견,신부전 등
- 감염경로 : 감염된 설치류(쥐)의 소변, 대변, 타액 등으로 분비되는 바이러스를 폐로 흡입 하여 감염
- 잠 복 기 : 1~2주(최대 8주)
- 고위험군 예방접종 실시
쯔쯔가무시증
- 대상 :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(Orientia tsutsugamushi)균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 :
- 주요증상 : 발열,반점상 발진,림프절 종대 등이 나타나며, 가피 형성이 특징적
- 감염경로 : 털진드기의 유충
- 잠 복 기 : 10일 이내
- 예방법
- 풀밭 위에 옷을 벗어놓거나 눕지 말 것
- 풀밭 위에서 식사하거나 용변을 보지 말 것
- 작업 시 벌레 기피제를 뿌린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
-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, 속옷, 양말 등을 세탁할 것
-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발진이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음
렙토스피라증
- 대상 : 병원성 렙토스피라균(Leptospira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무증상 또는 가벼운 감기증상이 나타나며 중증일 경우 신부전,간부전,수막염 등이 나타남.
- 감염경로 :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,토양,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난 부위를 통해 전파.사람 간 전파는 거의 없음
- 잠복기 : 2일~30일
- 예방법
- 작업시 반드시 장화, 장갑 등의 보호구 착용.
- 가능한 한 농경지의 고인 물에는 손발을 담그거나 닿지 않도록 주의.
- 벼베기 작업은 가급적 논에 물을 빼고 마른 뒤에 하기.
- 들쥐, 집쥐 등 감염우려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.
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
- 대상 : SFTS(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orme)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의료기관에서 환자, 의사환자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38~40도의 고열이 3~10일간 지속, 소화기증상(구토, 오심, 설사, 식욕부진), 혈소판 감소, 백혈구 감소, 다발성 장기부전, 신경계증상
- 감염경로 : 참진드기가 사람을 물어서 감염
- 잠복기 : 5~14일(중앙값 9일)
- 예방법
- 풀밭 위에 옷을 벗어놓거나 눕지 말 것.
- 풀밭 위에서 식사하거나 용변을 보지 말 것.
- 작업 시 벌레 기피제를 뿌린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.
-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, 속옷, 양말 등을 세탁할 것.
-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발진이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음.
겨울철 유행감염병
인플루엔자
- 대상 : 인플루엔자 바이러스(Influenza virus)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갑작스러운 발열, 두통, 근육통,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, 인후통,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
- 감염경로 : 환자의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비말 감염되거나,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후 눈코입을 만지는 경우 감염
- 잠복기 : 1~4일(평균 2일)
- 예방법
- 개인 위생수칙 준수 및 예방접종 실시
기타 감염병
수족구병
- 대상 : 엔테로바이러스군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또는 의사환자
- 방법 :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 진단 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보고
- 내용
- 주요증상 : 발열, 발진, 식욕감소, 무력감, 손이나 발 및 구강 내 수포
- 감염경로 : 코와 목의 분비물, 침, 그리고 물집의 진물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사람간 전파
- 잠복기 : 3~7일
- 예방법
- 일반적 예방(올바른 손씻기,기침 예절 등)
그 외 사업
레지오넬라증 정기 환경검사
- 레지오넬라증: 병원성 레지오넬라균(Legionella spp)에 감염되어 발생
- 주요증상: 두통,근육통,허약감,고열,오한 등 비특이적 증상
- 감염경로: 오염된 물(냉각탑수 등) 속의 균이 비말형태로 인체에 흡입되어 전파됨.일반적으로 사람 간 전파는 없음
- 내용: 레지오넬라증을 예방하고자 매년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정기 환경검사를 실시함
문의처
- 보건행정과 감염병 관리팀 02-3425-9447
관련 서식 / 자료
- 감염병 신고서식
감염병 신고 방법 및 절차 안내
- 감염병 신고시기
- 제1군, 제2군, 제3군(인플루엔자는 예외), 제4군감염병 : 지체없이 신고
- 제3군감염병 중 인플루엔자, 제5군감염병, 지정감염병 : 7일 이내(표본감시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만 해당)
- 감염병 신고의무자(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)
- 감염병 환자를 진단한 의사, 한의사. 의료기관의 장
- 육, 해, 공군 소속부대에 있는 그 소속부대의 장
- 그 밖의 신고 의무자(여러 사람이 모이는 장소의 관리인, 경영자 또는 대표자 등)
- 감염병 미신고시 벌칙(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81조 제1호)
- 신고방법
- 사이트(http://is.kdca.go.kr) 신고
성매개감염병
성행위로 감염되는 접촉성 감염병으로 발생예방과 감염자에 대한 조기발견, 초기치료로 개인의 건강은 물론 타인으로의 전파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정기검진대상자 등록관리, 검진 및 치료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대상
- 검진 희망자 : 검사를 원하는 일반주민 누구나(검사결과 비밀보장)
- 정기건강진단대상자
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 대상자 | 성매개감염병건강진단 항목 및 횟수 | ||
---|---|---|---|
매독검사 | HIV검사 | 그 밖의 성매개 감염병 검사 | |
「청소년보호법 시행령」 제6조제2항제1호에 따른 영업소의 여성종업원 | 1회/6개월 | 1회/6개월 | 1회/6개월 |
「식품위생법 시행령」 제22조제1항에 따른 유흥접객원 | 1회/3개월 | 1회/6개월 | 1회/3개월 |
「안마사에 관한 규칙」 제6조에 따른 안마시술소의 여성종업원 | 1회/3개월 | 1회/6개월 | 1회/3개월 |
특별자치도시자·시장·군수·구청장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한다고 인정하는 영업장에 종사하는 사람 | 1회/3개월 | 1회/6개월 | 1회/3개월 |
※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규칙」 제3조의 「별표」의 규정에 따름
내용
- 증상 : 대부분의 성병은 초기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으며, 주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을 일으킨다.
- 예방법
- 안전한 성생활 및 정확한 예방기구 사용
- HPV 예방접종(첨규콘딜롬,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)
- 첫 성경험 이전에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
- 11-12세에 접종 권장, 시기를 놓쳤을 경우 13-26세 사이에 접종 권장->HPV예방접종의 하위 카테고리
이용절차
1. 검진 희망자-
1층 건강관리센터 접수
-
검사진행
(AIDS, 매독, 클라미디아, 임질)
-
5일 이내 결과 확인
-
1층 민원실 접수
-
검사진행
(AIDS, 매독, 클라미디아, 임질)
-
5일 이내 결과 확인
- 접수 후 실명 또는 대상자의 희망에 따라 익명검사 가능
구비서류
- 신분증 및 수수료
문의처
- 보건행정과 감염병 관리팀 02-3425-9447
- 민원실(접수 안내) 02-3425-6653
- 임상검사실(결과 문의) 02-3425-6867
HIV/AIDS 관리
목적
- 에이즈에 대한 정확한 지식 보급으로 에이즈의 감염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감염을 예방
- 감염 취약군에 대한 정기검진 등으로 조기 발견을 강화하고, 발견된 감염인에 대한 상담 및 보호·지원 등 건강관리 실시와 전파방지를 통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
HIV/AIDS란?
- HIV 감염인: 체내에 HIV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총칭하는 말로 넓게는 병원체보유자, 양성판정자, 에이즈 환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
- 후천성면역결핍증(에이즈)환자: HIV에 감염된 후 인체 면역 결핍이 진행되어 부합되는 임상증상이나 검사소견 등이 나타난 사람
AIDS 증상
- 급성 감염기: 처음 감염된 환자들의 50%~70%는 감염 후 약 3~4주 이내에 발열,근육통,관절통,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개 약 4주 후 자연히 호전
- 임상적 잠복기: 급성 감염기의 증상이 모두 사라지면 약 8~10년동안 아무런 증상이 없는 임상적 잠복기가 시작
- 증상기: 임상적 잠복기(무증상기) 후 식은땀,피로,두통,체중감소 등의 전구증상 및 합병증 발생
감염경로
- 성접촉에 의한 감염
-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에의 노출
- 수직감염(HIV에 감염된 모체로부터 아기에게 직접 전파)
- 오염된 주사기의 공동사용 (HIV는 일상생활에서 감염되지 않습니다!)
- 감염인과 식기,화장실 변기,침구류 등을 함께 사용할때
- 감염인과 피부 접촉이나 포옹, 가벼운 키스를 할때
- 감염인과 수영장,대중 목욕탕을 함께 사용하거나 함께 운동할 때
HIV/AIDS 익명검사: 강동구보건소에서 익명검사 및 상담 가능
HIV/AIDS 상담기관
문의처
- 보건행정과 감염병 관리팀 02-3425-9447
근거법령
- 「청소년보호법 시행령」 제6조제2항제1호에 따른 영업소의 여성종업원
- 「식품위생법 시행령」 제22조제1항에 따른 유흥접객원
- 「안마사에 관한 규칙」 제6조에 따른 안마시술소의 여성종업원
- 특별자치도시자·시장·군수·구청장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한다고 인정하는 영업장에 종사하는 사람
- 에이즈 상담센터:1551-8105
- 한국에이즈퇴치연맹:02-927-4071
담당부서보건행정과 감염병관리팀
문의02-3425-8556, 9339
최종수정일 2023-05-12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